top of page

Text

Photo Exhibition of 'Gachang Art Studio' Space Project on the Me and My Shadow

Shadow of Light and Inner Form

‘What can I photograph?' I think that such a question is difficult for every artist who works with a camera to answer. A cold machinery camera collects images,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its outcome depending on who will hold it in hands. This does not mean only high-sophisticated technology. If a camera remained 'merely' the reproduction of facts- of course, it is impossible to perfectly reproduce facts with their warts- the machinery would certainly be regarded as a partial substitute of a painting which has the lives of only a few of artists ruined. A photo has overcome its specific feature as media or its limit to be established as the visual arts sphere, since there has appeared the essence of an act of art in search of subtle encounter between the inevitable questions, 'what' and how.' 

 

Twelve art collections introduced as the title of 'Me and My Shadow'- how each individual work is connected- is not understood easily, although there includes further explanation about it- for example, with a remark, 'three years ago,' or ‘five years ago.' An old and ripped baseball ball, a rusty warehouse where a sign of someone's visit can hardly been found, lifeless weeds growing tall but looking like falling down in even a little breeze, a skeleton model laid at the end of a desk, a young western woman with her face in smoke, a red beak of a duck boat, a red brick building lying behind a fence wall in which there are cracks, the surface of wall around the sewerage which shows steel reinforcement, lying bare, slotted stone, toilet papers thrown away at random, leaving long loose, a white T-shirt and muffler hung in hangers, shutters embedded with photos, an array of objects looking like having little connection- All of those forms remain old and loose for these are the images which are brought back from private memories of Artist Sung-tae Jung. 

 

Artist Sung-tae Jung has a reason to track down his memories and travel for images. 'Inner form'- this is what he intends to find in his works. Incomplete experiences of the past have their inner form through memory. It is Sung-tae Jung's works that brings back such experiences. From each viewpoint, his works can be understood as the concrete process offering some form based on experiences of the past that exist by a fragment, or as the artist's constant will to try to find complete inner form. For every and any reason, his works seem to have a clear objective. 'Erase Shadow'- regarding the orientation of work, he calls like that. He makes an extremely specific definition about shadow. A dark track caused by the failure of the appearance of light owing to an object shined- that is usually called shadow. Seeing that attribution to an object is understood  about shadow, in general, Artist Sung-tae Jung defines shadow as a dark attribute within light. This sounds reasonable when defining light not as wave but as particle. In theory, light can form shadow since every particle has mass and bulk. But Artist Sung-tae Jung does not understand light and shadow from the physical viewpoint but from the metaphorical viewpoint that 'All things have shadow.' An act- that reflects memories of childhood into a particular object and brings back inner form lying down the mind- is also the process filtering out dark memories and neutralizing them. 

 

The artist spent his young days in a rural village. His father worked as a teacher and his mother managed an orchard, and his elder sisters left for a large city to attend senior school. After school, he had to spend his entire days alone. So he used to throw away a baseball ball up to the wall of a fruit storage house. He often encountered monotonous landscape, going in and out of school. By the time when he went to middle school, he went to a large city with his sisters, but he was still alone. A red brick house behind a high fence wall- works of subtitles, 'Five years ago'- is his reverie of his dark memories gathering like shadow during his childhood. But in order to find a solution to unsolved memories, the artist paints a form on memories to describe in his work. This shows plainly his inner form. 

 

In 2015, Artist Sung-tae Jung set his foot to Chernobyl which was still polluted and threatening even after times passed, to perform 'Chernobyl project' that he had performed for about two years. This was a historical journey to inner form. The artist travelled Chernobyl in order to take away shadow that lies within inner form of times and history. Perhaps by homing instinct, people who left the dead city began to return to their old home one by one. But it was ironic that Artist Sung-tae Jung faced his self-inner form shown through shadow of light while describing those people in his works. The completed work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it were <Five years ago of Me and My Shadow>. A blonde white girl drinks up smoke containing a drug substance, having a strong desire not to leave even a drop. A red beak of a yellow duck boat is also a symbol of strong desire. And a white skeleton on a table shows confliction between multi-egos, and this is concluded as unavoidable Vanitas. And then inner form within shadow of light returns back, which implies everything is in its right place. like an unavoidable fate of being. 

 

It was not certain that Artist Sung-tae Jung knows by intuition that if even light is not free from shadow, anyone cannot be free from it- irrelevant of the memory of the past or a miserable historical event. This means neither ignoring nor forgetting it. What is of consequence is an attitude. The artist will hold his camera in search of inner form, encountering shadow of light.

Dr. Kim, Sukmo (Major in Art History)

Chief Curator of Pohang Museum of Steel Art

빛 그림자와 내적형상

‘무엇을 찍을 것인가?’ 아마도 카메라를 들고 작업하는 모든 작가들을 괴롭히는 질문이 아닌가 싶다. 상을 채집하는 차가운 기계장치 카메라. 하지만 누구의 손에 들리는가에 따라 결과물은 달라진다. 비단 기술적인 완성도만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사진기가 ‘고작’ 사실을 재현하는데 머물렀다면 - 물론 사실을 있는 그대로 완벽하게 재현한다는 것 자체도 불가능한 일이긴 하지만 – 고작 몇몇 화가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회화의 부분적 대체로 여겨졌을 것이 분명하다. 사진이 매체적 특수성 혹은 한계를 극복하고 시각미술의 영역에 둥지를 틀 수 있었던 것은 ‘무엇’과 ‘어떻게’라는 필연적 질문들 사이에 존재하는 미묘한 접점을 찾아가는 예술행위 본연의 태도가 인정되었기 때문이다. 

 

‘나와 내 그림자’(Me and My Shadow)라는 제목으로 소개된 열 두 점의 작업들. ‘3년 전’, ‘5년 전’이라는 부연설명에도 불구하고, 개별 작업들이 어떤 연결고리를 갖는지 쉬 읽혀지지 않는다. 실밥 터진 낡은 야구공, 드나든 흔적이 희미해진 녹슨 창고, 무성하게 자랐지만 바람만 불어도 바스라질 것 같은 생명력 없는 잡초, 책상 끝에 놓인 해골모형, 연기에 얼굴을 묻고 있는 젊은 서양여자, 오리배의 붉은색 주둥이, 금간 담벼락 뒤로 보이는 붉은 벽돌 건물, 허물어져 철근을 드러내는 하수로 벽면, 구멍 난 돌, 길게 풀려 아무렇게나 내동댕이쳐진 휴지, 옷걸이에 걸린 하얀색 티셔츠와 머플러, 사진이 끼워진 블라인드. 별다른 연관성 없어 보이는 대상들의 나열. 그도 그럴 것이 이들은 모두 정성태의 사적인 기억으로부터 끌어낸 이미지이기 때문이다.

 

기억을 뒤져가며 이미지를 찾아가는 정성태만의 이유가 있다. ‘내적형상’(inner form), 그가 작업에서 찾고자 하는 것이다. 과거의 불완전한 경험들은 기억 속에 쌓이면서 내적형상을 입는다. 이들을 다시 불러낸 것이 정성태의 작업이다. 관점에 따라서는, 파편으로 존재하는 과거의 경험들에 형상을 입힌 구체화 과정, 혹은 완전한 내적 형상을 찾고자하는 작가의 부단한 의지로 이해 될 수도 있다. 이유야 어떻든 목적은 분명해 보인다. ‘그림자 지우기’, 작업의 지향점을 그는 이렇게 부른다. 그림자에 대한 그의 규정은 아주 독특하다. 빛이 어떤 대상에 비춰져 통과하지 못한 곳에 생기는 어두운 흔적, 이것을 일반적으로 그림자라고 부른다. 대상으로의 귀속성, 이것이 그림자에 대한 보편적인 이해라면, 정성태는 그림자를 빛에 내재된 어두운 속성이라고 정의한다. 빛을 파동이 아니라 입자로 본다면 충분히 가능한 설명이다. 모든 입자는 질량과 부피를 가지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빛에도 그림자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빛과 그림자에 대한 정성태의 이해는 물리학적 정의라기보다는 ‘모든 것은 그림자를 가진다’는 것에 대한 은유적인 표현이다. 어린 시절의 기억을 특정한 대상에 투영해 잠들어 있던 내적 형상을 불러내는 행위, 이것은 어두웠던 기억을 걷어내고 중화시키는 과정이기도 하다.

 

시골에서 보낸 어린 시절, 교편을 잡았던 아버지와 과수원을 경영했던 어머니. 터울 진 누나들은 상급학교 진학을 위해 대도시로 떠났다. 하교 후 줄 곳 혼자 시간을 보내야했던 작가는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과실 창고 벽에 야구공을 던졌다. 오가며 마주했던 지루한 풍경들. 중학교를 들어가던 무렵 누나들을 따라 대도시로 나왔지만 여전히 그는 혼자였다. 높은 담벼락 뒤 붉은 벽돌 집. ‘5년 전’이라는 부제의 작업들은 그림자처럼 짙게 드리운 정성태의 어린 시절 기억에 대한 회상이다. 해결되지 않은, 하지만 해결하기 위해 기억에 형태를 입혀 작업에 담아낸다. 이렇게 정성태의 내적형상이 드러난다.

 

2015년, 2년 여 동안의 준비 끝에 진행된 ‘체르노빌 프로젝트’. 족히 한 세대가 지났지만 여전히 오염되고 위협적인 체르노빌에 발을 디뎠다. 내적 형상의 역사화 과정이다. 개인의 특수성이 역사에 비춰지면 보편성을 얻게 된다. 정성태가 체르노빌을 찾은 것은 시대와 역사의 내적 형상에 묻어 있는 그림자를 걷어내는 과정인 것이다. 귀소본능일까? 죽은 도시를 떠났던 사람들이 하나 둘 씩 옛집으로 돌아 왔다. 그런데 그 사람들을 작업에 담으며 정성태가 맞닥트린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빛 그림자 드리운 자신의 내적형상이었다. 그렇게 완성된 작업들이 <나와 내 그림자_5년 전>이다. 금발의 백인 소녀가 마약성분이 함유된 연기를 들어 마시고 있다. 한 방울도 잃지 않겠다는 부단한 욕망이다. 노란 오리배의 붉은 주둥이 역시 욕망이다. 그리고 테이블에 놓인 백색 해골. 욕망은 다층적 자아간의 충돌이며, 필연적으로 바니타스(Vanitas)로 귀결된다. 다시, 빛 그림자 드리운 내적형상을 마주하게 되었으니 결국 제자리로 돌아온 것이다. 벗어날 수 없는 존재의 숙명이다.

 

작가 정성태가 직감하고 있을지 확신은 없다, 빛조차 그림자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면, 누구도 그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을. 그것이 과거의 기억이든 혹은 참혹한 역사의 현장이건 간에 말이다. 외면하거나 단념하자는 이야기는 아니다. 태도의 문제이다. 그는 또 카메라를 들것이고, 내적형상을 쫓을 것이고, 빛의 그림자를 마주할 것이다.

김석모  

철학박사(미술사전공), 포항시립미술관 학예연구실장

bottom of page